MRI 의 원리

 

간단히 말하면 인체의 각 세포에 포함된 수소원자핵, 즉 양성자의 자기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인체의 대부분이 물인 것처럼 세포의 7할에는 양성자가 포함되어 있다.  양성자는 팽이처럼 축을 갖고 회전하는 작은 막대자석에 비유될 수 있다. 보통 때 이 양성자의 회전축은 임의의 방향을 향하면서 지구처럼 자전하고 있는데, 외부자장의 영향으로 세차운동을 시작한다. 이때 세차운동과 동일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가하면 핵자기공명이 일어나 양성자가 에너지를 흡수한다.  

어느 정도나 강력한 자기장을 걸어주나?
정해진 범위가 있지만 대개는 FM방송과 같은 정도인 약 64메가헤르츠의 고주파 자기장이다. 그 다음에 그 고주파 자기장을 끊으면, 양성자는 자기가 흡수했던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그 때 양성자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컴퓨터 처리하면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건강한 조직과 병으로 이상이 생긴 조직간에 양성자가 방출하는 에너지에 차이가 있을까? 그렇다.
팽이가 관성으로 운동하다가 얼마 안 있어 정지하듯 이 전자파를 끊으면 양성자가 내는 신호도 점점 감소한다.
그런데 병의 종류에 따라 그 감소하는 방식이 다르다. 컵에 들어 있는 물은 다른 물체에 속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호가 잘 감소하지 아니한다. 암세포는 물의 양이 다른 세포보다 많아서  신호가 잘 감소되지 않으므로 건강한 세포와 구별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한 조직과 병으로 이상이 생긴 조직간에 양성자가 방출하는 에너지에 차이가 있을까?
이 전자파를 끊으면 양성자가 내는 신호도 점점 감소한다. 그런데 병의 종류에 따라 그 감소하는 방식이 다르다. 컵에 들어 있는 물은 다른 물체에 속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호가  잘 감소하지 아니한다. 암세포는 물의 양이 다른 세포보다 많아서  신호가 잘 감소되지 않으므로 건강한 세포와 구별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CT 와 MRI 의 차이점
쉽게 비교할 수 있는 CT와 MRI의 차이를 보면, MRI는 자석의 힘과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CT는 X-ray와 컴퓨터를 이용한다. CT는 단면의 영상으로 진단하는 반면 MRI는 단면, 횡면, 사면 등 여러 면으로 검사가 가능하다.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는 피폭의 우려가 있으나 MRI는 아직까지 유해성을 논할 수 없다고 본다. 뇌신경계통의 검사나 골반부, 근육골격계에서는 그 침윤 정도를 보다 더 세밀하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폐결절(폐의 검사), 소아기계(복부검사), 급성외상에 의한 출혈(특히 교통사고 직후 검사)은 CT가 MRI보다 진단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48시간의 혈액 응고시간이 지난 후의 교통사고 환자는 MRI가 좋다. MRI 검사를 받을 수 없는 분도 있다. 예를 들면 심박동기를 가진 환자, 심판막술을 받은 환자, 철성분이 강한 금속을 지니신 분은 자장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곤란하다. 또한 MRI 검사는 약 1시간이라는 많은 검사시간 때문에 협조가 안되는 환자나 어린이의 검사는 필히 진정제를 투입하여 잠을 자는 상태에서만 검사가 가능하며, 기계 자체가 CT보다 커서 밀실공포증 환자도 어려움이 있다.

 


2005/05/05 01:38 2005/05/05 01:38

거대한 소리를 방출하는 블랙홀

resize




국제 천문학자들이 거대한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음파를 관측했다. 사상 최초인 이번 발견은 천문물리의 방대한 신비 하나를 풀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53시간 동안 찬드라(Chandra) X선 망원경에 의해서 관측된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소리의 진동은 “인간의 청각 한계보다 1015 (a million billion) 분의 1이나 낮았다”고 볼티모어 우주망원경연구소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의 부국장 Bruce Margon이 워싱톤 NASA 본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설명했다.

이번 관측을 위해서 연구원들은 찬드라를 지구에서 2억 5천만 광년 떨어진 페르세우스좌를 포함하는 성단 중심지역에 고정시켰다.

은하계 사이에 위치한 음파의 발견으로 오래 전부터 천문학자들이 제기해왔던 문제, 즉, 이 성단의 중심 지역에 위치한 더운 가스가 100억년이 지나는 동안도 식지 않았는가 ?에 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가스를 가로지르면서 음파는 흡수되었고 그들의 에너지는 열로 변환되었다”, 이는 어떻게 가스가 더운 채로 남아있을 수 있는가를 설명해줄 수 있다고 NASA 의 Goddard 우주비행센터(메릴랜드 소재)의 천문물리학자 Kim Weaver는 강조했다.

방출된 음파는 영상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시각화되어 광도의 미세한 차이도 드러나게 할 수 있었다. 연구원들의 계산에 따르면 블랙홀은 중간 도보다 57 옥타브 아래의 내림 나 (시 플랫)에 대응되는 음을 방출한다고 Margon부국장은 설명했다. 피아노는 보통 7옥타브를 갖는다.

“이들 음파는 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은하계의 성단이 어떻게 커질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캠브리지 천문물리연구소의 Steve Allen박사는 평가한다. 음파에 의해서 수송된 에너지는 폭발 국면에 있는 거대한 별들인 1억 개의 초신성으로 결합된 에너지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라고 천문물리 연구소의 Andy Fabian교수는 덧붙였다.

 


2005/05/05 01:37 2005/05/05 01:37

솔리톤과 그 응용에 대해

 

솔리톤

 

입자처럼 행동하는 고립파

에너지가 집중되어 안정한 덩어리로서 전파되어 가는 비선형 파동(非線形波動)이다. 솔리톤이 서로 충돌할 때에는 솔리톤은 부서지지 않고 서로 통과시키고, 매질에 불균일성이나 불순물이 개재되어 있어도 그다지 크게 산란되지 않고 그대로 전파해 간다. 이러한 뜻에서 안정하다. 일정한 깊이 h인 도랑 또는 운하에서 파동을 일으키면, 단 하나의 파동의 산마루가 모양을 바꾸지 않고 일정한 속력으로 전파한다는 것을 1844년 영국의 J.S.러셀이 실험적으로 발견하여 이것을 솔리톤이라 불렀다.


솔리톤 광 전송

광섬유 속을 전파하는 광 펄스에도 솔리톤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미국 AT&T 산하 벨 연구소의 연구 결과로 알게 되었다.
광섬유 속을 전파하는 광 펄스의 폭은 광섬유의 파장 분산에 의해 보통은 넓어진다.
그것은 단파장 쪽이 빨리 진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이 솔리톤의 경우에는 폭이 넓어지지 않고 일정한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이론적으로는 펄스의 폭을 무한정으로 좁게 할 수 있어서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광섬유 속에서는 펄스의 강도 등 어떤 조건에서 펄스 폭이 수축하는 위상 변조 효과가 발생한다.
이 펄스 폭의 수축과 확산이 균형을 이루게 되면 펄스는 형이 변하지 않는 광 솔리톤으로 된다.
또 광섬유의 광 손실로 감쇄되는 정도와 펄스 폭의 수축·확산을 미리 감안하여 송출하는 동적 솔리톤(dynamic soliton)은 1990년에 일본의 NTT가 발표하였는데,이것을 이용하는 것이 광 솔리톤 통신이다.
일본의 NTT와 KDD,미국의 AT&T,영국의 BT 등이 광 솔리톤 통신을 장래의 고속 대용량 통신 기술로서 연구하고 있다.
이미 20~100GHz는 실험실 연구가 완료되었다.
KDD는 1994년에 20GHz로 1만 km 전송하는 데 성공하였고,NTT는 1995년에 80GHz로 500km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였다.
한편 AT&T사는 이에 앞서 1993년에 20GHz로 1만 3천km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05/05/05 01:36 2005/05/05 0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