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ilDriver



The Fury Of Our Maker's Hand [2005]


스피드하고 힘있는 스타일

멜로디라인도 좋고

딱 내 스타일이다!

2006/10/16 15:55 2006/10/16 15:55

헤비메틀의 쟝르


공부할땐 주로 메탈을 많이 듣게된다.
먼저 가사를 음미하기 힘드니 노래에 빠져들기 힘들고 -ㅅ-;
탬포가 빠른 곡들과 시원시원한 노래들이 많아서라고 생각된다.

락스같은 곳에서는 메탈을 여러가지 장르로 분류하였는데
이러한 장르에 대해서 길게 설명한 글이 있어 살짝~

아래와 같은 구분에서 멜로딕 데스, 그라인드 코어, 멜로딕 스피드, 프로그레시브 정도
가 개인적인 취향이네.


━━━━━━━━━━━━━━━━━━━━━━━━━━━━━━━━━━━━━━━━━━━━━━━━━━━━


내용출처 - http://cafe.daum.net/562asp 다음카페- 베리알 악숭(구 악마숭상자)


헤비메틀의 쟝르를 구분하는 일이 무의미하다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실 어떤 밴드는 이거고 어떤 밴드는 저거라고 딱잘라 말하기도 어렵지요. 그러나 각 쟝르에 대한 확실한 이해는 올바른 감상을 돕고 보다 폭넓은 음악을 편견없이 듣기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여기서는 헤비메틀과 그에 관련된 록의 각 쟝르에 대해 제가 아는대로 구분해 보았으니 관심있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I. 사운드에 의한 분류


* 정통 메틀(Orthodox Metal)

말 그대로 하드록의 본류를 계승한 정통파. 탄탄한 연주력과 꾸밈없고 헤비한 사운드, 리프중심의 스피디한 악곡구성이 특징. 주로 영국밴드가 많은데 Judas Priest, Iron Maiden, Ozzy Osbourne 등이 대표적. (※ 그 이유는 헤비메틀이라는 장르의 음악이 영국에서 부터 유행되었기
때문입니다. 영국에서 유행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서 더욱 발전하게 되었지요. 그래서 N.W.O.B.H.M.『NEW WAVE OF BRITISH HEAVY METAL』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ㄷ읍니다.)


* L.A.메틀(L.A.Metal)


80년대초 미국 서해안을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멜로디 중심의 흥겹고 경쾌한 헤비메틀. 가사내용은 술과 여자등 자유분방한 쾌락을 노래한 것이 많으며 멤버들의 외모나 무대매너등을 중시
하여 10대 팬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며 헤비메틀의 대중화에 공로가 큼. L.A.메틀 1기의 3대그룹으로 꼽히는 Motley Crue, Quiet Riot, Ratt, 2기 3대 그룹인 L.A.Guns, Poison, Guns N'Roses, 그외에 Dokken, Warrant, Slaughter 등이 유명했으나 현재는 침체상태. (※ 침체이유는 다 아시겠지만 바로 얼터/모던 록식의 복고풍 바람때문이죠. 그리고 하구한날 사랑타령만 하고 있을수도 없고... 그러니까 80년대 L.A.에서 유행하던 음악이 스타일이 변하면서 90년대 들어서면서 Seattle로 이동했다고 볼수 있읍니다.)

주:(윗글에서 멜로딕 스피드 메탈이 Firehouse라고 하셨는데..Firehouse는 L.A메틀 그룹입니다.)


* 팝 메틀(Pop Metal)

헤비메틀과 팝을 접목시킨 쟝르로 헤비메틀의 쟝르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임. L.A.메틀과 같이 멤버들의 외모등을 중시하며 역시 달콤한 사랑노래나 발라드를 앞세워 각종챠트의 정상을 계속 차지하는등 절대적 인기를 누리고 있으나 팝 뮤지션들보다 더 팝적이라는 비판-※너무 상업적이라는 이유때문-과 함께 음악성을 의심받기도... Bon Jovi, Def Leppard, Nelson, Europe 등이 있음.(※ Def Leppard는 초기에는 NWOBHM(어느 정도 정통메탈)로 시작했지만 조금씩 음악 스타일이 바뀐 대표적인 경우죠.)


* 바로크 메틀(Baroque Metal)

헤비메틀을 클래식에 접목시킨 쟝르로 클래시컬 메틀(Classical Metal)이라고도 함. 기타리스트의 속주 솜씨가 중시되며 그 뛰어난 기교로 한때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끈적이 있음. 바로크 메틀의 대명사 Yngwie Malmsteen,그가 몸담았던 Alcatrazz, 속주기타리스트 Ulich Roth, Impelliteri등이 있음. 바로크 메틀에서 한단계 발전해간 Tony MacAlpine, Vinnie Moore등의 음악은 네오 클래시컬 퓨전(Neo Classical Fusion)으로 불리기도 함.

* 스래쉬 메틀(Thrash Metal)

펑크록과 NWOBHM시대의 Motorhead, Venom 등을 시초로 하여 언더그라운드에서 싹튼 쟝르. 고속의 스피드를 주무기로 하며 과격한 사운드와 가사내용이 특징. 스래쉬 4인방 Metallica, Megadeth,
Anthrax, Slayer를 필두로 Sepultura, Testament, Kreator, Exodus Sodom, Destruction등이 유명했으나 대형 스래쉬 밴드들의 사운드 대중화와 데스메틀의 급부상으로 인해 지금은 거의 사장되었음.

주:(국내밴드로는 Crash가 유명하죠..현재 메탈리카는 스래쉬 밴드라고 보기엔 문제가 많습니다..비록 라이브에선 옛날 곡도 잘 부르지만..1~4집까지만 스래쉬메탈이고..그 후로는 다양한 시도를 했죠...)

* 스피드 메탈 (Speed Metal)

메틀 장르중 가장 구분하기 힘든 장르인데, 일반적으로 두가지 견해로 봄. 첫번째는 Metallica나 Megadeth, King diamond, Exodus, Flotsam & Jetsam등의 초기 시절음악들. 빠른 기타리프와 멜로디(한마디로 스피드)를 보구서 나누는 스타일인데 거의 트래쉬 메틀과 혼용됨. 두번째는 바로크 메탈의 또 다른면. 그러니까 바로크 메탈이 클래식컬한 면을 위주로 펼치는 음악이라면 스피드 메틀은 클래식적인 요소 대신에 트래쉬적인 요소를 더 한거.
Cacophony, Apocrypha, Racer-X 등. 하지만 둘다 맞는 말이기 때문에 상당히 구분하기가 힘들어졌고 트래쉬의 활성화로 그 의미가 퇘색해져서 지금은 트래쉬 메탈과 바로크 메탈로 흡수된 상태. (어느분이 한말이지만 '모든 그룹의 메탈리카화, 모든 기타리스트의 잉위 맘스틴화'가 가장 큰 요인)
주:(메탈리카 1집 Kill'em All이 이에 속하겠군요..)


* 멜로딕 스피드 메틀(Melodic Speed Metal)


악곡의 스피드는 스래쉬 메틀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좀더 대중적이고 멜로디를 중시하는 쟝르. 역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한때 인기를 끌었음. 독일 밴드가 많은데 멜로딕 스피드 메틀의 효시가 되는 Helloween과 Blind Guardian, Chroming Rose, Gamma Ray, 브라질의 Viper등이 있음. (※ 멜로딕 파워 메틀 - ex, Running Wild)

주:(본 고장인 유럽에서는 European Power Metal이라는 큰 범주안에 포함시켜 버립니다..)

* 파워 메틀(Power Metal)

정통메틀과 스래쉬메틀의 중간정도에 위치한 쟝르. 남성적인 호쾌한 보컬과 고출력의 힘있는 사운드가 특징. Manowar, Metal Church를 시작으로 신진 대형밴드인 Pantera가 대중화시킴.


* 데스 메틀(Death Metal)


스래쉬 메틀이 더욱 극단화된 쟝르. 죽음이나 파괴, 악마찬양을 주요 소재로 하며 거의 소음에 가까운 초과격한 사운드에 멜로디 없는 구토식 보컬, 끔찍한 앨범쟈켓 등이 특징. 고참 밴드인
Possessed, Bathory, Death를 비롯해 과격파 Napalm Death, Carcass,Obituary, Cannibal Corpse등과 악마파 Deicide, Morbid Angel등이 있음.

주:(익스트림메탈의 가장 대표적인 장르로..국내밴드에서는 '마귀'가 상당히 유명합니다..데스 메틀에서 파생되어 나온 장르로..블랙 메틀..고딕 메틀 정도가 있구요..그 외에도 멜로딕컬함을 더하기 위해 키보디스트를 영입해서 다채로운 사운드를 노래에 더한 경우가 있습니다..
ex>멜로딕 데스 메틀->Arch Enemy)

* 하드 코어(Hard Core)

스래쉬 메틀을 펑크 록(Punk Rock)과 접목시킨 쟝르로 스래쉬 메틀의 빠르고 과격한 연주와 함께 펑크의 거칠고 반항적인 이미지가 함께함. 대부분 랩 형식의 보컬을 채택하여 랩 메틀(Rap Metal)의 형식을 취함. Suicidal Tendencies, Biohazard, Rage Against the Machine, S.O.D. Body Count, D.O.A. M.O.D.등이 있다.


* 그라인드 코어(Grind Core)

하드 코어의 발전형으로서 대개 데스 메틀의 하위쟝르로 취급됨. 그 특징은 grind(맷돌로 갈다)라는 용어 그대로 멜로디나 곡의 이미지 등을 거의 배제하고 극단적인 스피드와 파괴적 사운드만을 추구하는 점. 그래서 다소 단순하고 지루하다는 평가도 받고 있지만 헤비메틀 중에서도 가장 과격하고 파괴적인 쟝르인 것만은 틀림없을듯. 대표적 밴드는 그라인드 코어의 제왕이라는 Napalm Death와 Terrorizer, Brutal Truth, 초기 Carcass 등.


* 둠 메틀(Doom Metal)

데스 메틀에서 갈려나온 쟝르로 데스와 다른점은 스피드가 느리고 사운드가 더욱 헤비하며 우울, 침울하다는 것으로 초기 Black Sabbath 의 영향이 큼. Doom, Cathedral, Paradise Lost, Solitude Aeturnus 등이 있다.


* 인더스트리얼(Industrial)

비교적 신진세력이며 헤비메틀과 테크노 뮤직을 접목한 쟝르. 컴퓨터 뮤직과 각종 이펙터, 샘플링을 이용한 특유의 인공적인 사운드로 주목을 받음. Ministry, Nine Inch Nails, Fear Factory, Gudflesh 등이 유명함.


* 프로그레시브 메틀(Progressive Metal)

프로그레시브 록과 헤비메틀을 접목시킨 쟝르. 연주기교가 뛰어나며 웅장한 이미지를 준다. 최초로 컨셉트 형식을 헤비메틀에 도입했던 Rush와 시애틀 출신의 Queensryche, Fates Warning, 그리고 테크닉컬한 연주를 무기로 들고 나왔던 Dream Theater, Shadow Gallery, Magellan등을 들수 있음. (※ Queensryche와 Fates Warning은 프로그레시브 메탈과 시애틀 메탈(얼터와는 다른의미) 사이고, Savatage는 초기 정통 메탈에서 팝메탈과 프로그레시브적인-클래식컬한면-성격을 띠는 그룹이다.)

주:(Symphony X도 이 장르에선 인기가 많은 그룹이죠..)



II.내용에 의한 분류


* 블랙 메틀(Black Metal)

사타닉 메틀(Satanic Metal)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신비주의나 악마에 관계된 내용을 다룬다. 무대에서 악마에게 제물을 바치는 의식을 한다든지 얼굴에 짐승의 피를 칠하고 연주하는 등 악마주의의 요소가 많아 기독교계의 거친 반발을 사기도. 블랙메틀의 시조 Black Sabbath에 이어 Venom, King Diamond, 데스메틀 밴드인 Bathory, Morbid Angel,Deicide 그리고 Danzig, Type O Negative등이 맥을 잇고 있음. (※ Black Metal은 거의 모든 메탈 장르에 걸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블랙 메탈그룹은 꼭 트래쉬 메탈그룹이다」라고 할수 없다.)


* 가스펠 메틀(Gospel Metal)

크리스천 록(Christian Rock)이라고도 하며 음악을 통해 기독교의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목적. 블랙메틀과는 정반대의 쟝르라 할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공연을 가졌던 Stryper와 크리스천 데스 메틀 밴드인 Believer가 있음. (※ 그외에 Stryper류의 White Cross나 Guardian같은 그룹이 있지만 음악적 성격상 크게 팝메탈 쪽이 많고 별로 어필할만한 그룹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한테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무엇보다도 사탄의 저주 때문에...^_^)


* 인텔렉츄얼 메틀(Intellectual Metal)


지적(知的)메틀. 정교한 곡의 구성과 사회비판적인 가사를 특징으로 함. Metallica, Megadeth, Nuclear Assault, Queensryche등이 있음.


* 씨어트리컬 메틀(Theatrical Metal)


쇼크 록(Shock Rock)이라고도 불리며 시각적인 요소를 중시하여 헤비메틀 공연과 공포영화를 접목한듯한 충격적인 라이브무대가 특징. 대부격인 Alice Cooper와 그의 후예라고 할수 있는 Lizzy Borden, King Diamond 등이 있음.


※ 음악이라는 것이 어차피 그 시대에 유행하는 스타일에 따라가기 때문에 장르라는 어느 한 틀에 끼워 넣기가 힘든게 사실입니다. (특히 메틀에서는.) 하지만 위에서 분류한 기준은 그룹들이 초기에 그들이 하고자 했던 음악 스타일에 맞춘것이므로 이점을 유의하시고 보신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III. 헤비메틀의 관련장르들


* 하드 록(Hard Rock)

헤비메틀의 전신(前身). 혹자는 음량과 사운드의 강약이나 직선적인 표현방식, 리듬앤 블루스에 기반을 두었는가의 여부 등을 가지고 하드록과 헤비메틀을 구분하려 하기도 하나 양자간에 큰 차이는 없으며 다만 '헤비메틀'이란 음악용어가 일반화되기 시작한 80년대 이후의 그룹들은 헤비메틀로, 그 이전은 하드록으로 구분할수 있을 것이다. 1960년대 Jimi Hendrix와 Cream등을 위시하여 록큰롤과 블루스에 바탕을 둔 일렉트릭 기타중심의 헤비사운드의 음악을 하드록이라 칭하였고
Led Zeppelin와 Deep Purple의 양대그룹에 와서 그 전성기를 맞는다. 그외 Thin Lizzy, UFO, Uriah Heep등의 브리티쉬 하드록 그룹과 KISS, Aerosmith, Van Halen등의 아메리칸 하드록 그룹,AC/DC, Whitesnake, Rainbow 등이 유명.


* 펑크 록(Punk Rock)

1976년에서 1979년까지 영국을 중심으로 유행되었던 록의 한 사조. 록의 반항정신과 정치성이 가장 강조된 쟝르로서 좌충우돌격의 단순한 사운드와 기존문화를 거부하는 반항적인 이미지로 헤비메틀과 특히 얼터너티브 록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후에 대중적인 뉴 웨이브(New Wave)음악으로 발전했다가 최근 Green Day등의 신세대 펑크밴드들에 의해 재조명되고 있음. Sex Pistols, Clash, Iggy Pop, Ramones등이 대표적임.


* 얼터너티브 록(Alternative Rock)


그런지 록(Grunge Rock), 모던 록(Modern Rock)이라고도 하며 최근 놀라운 대중적 인기와 지지도를 획득하며 록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쟝르. 사이키델릭 록과 펑크, 헤비메틀 등이 혼재되어 나른하면서도 폭발적인 복고풍의 사운드를 창출해내고 있다. 지금은 탈쟝르와 크로스오버적인 음악사조까지 수용하여 더욱더 쟝르의 구분이나 정의가 어려운상태. Nirvana, Pearl Jam, Alice In Chains, Soundgarden등이 있음.


* 프로그레시브 록(Progressive Rock)

아트록(Art Rock)이라고도 하며 실험적이며 전위적인 음악을 추구하고 악곡의 예술성과 앨범의 컨셉트성을 중시하는것이 특징. 연주면에서는 특히 키보드나 신서사이저 파트가 강조되는데 유러피안 프로그레시브 록의 경우에는 바이올린, 피아노 등의 악기도 가미되어 클래식과 재즈,록을 합친 음악이라고도 함. 대표적 밴드로는 가장 유명한 Pink Floyd와 Genesis, Yes, King Crimson, New Trolls등이 있음.


2006/10/10 22:33 2006/10/10 22:33

[펌]법사 메크로

2006/2/7 - 양변, 얼방, 속박 매크로 일부/SuperMacro 버전/애드온 사용법 링크 수정했습니다.

2006/2/7 - 신비한 폭발(자동 얼방) 매크로 추가했습니다.

2006/2/7 - 양변 매크로를 재수정 했습니다. 기존 버전도 잘 돌아갑니다만 코드를 조금 바꿨습니다.

2006/2/7 - 소생/고통/흡혈 매크로를 수정 했습니다. 흡혈/고통이 모두 걸려 있을 경우 이제 고통을 시전합니다.

2006/2/7 - 라면사제 Plus를 재수정하였습니다. 이제 라면사제 Plus(소실제거버전)과 함수 충돌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2006/2/11 - 얼방 매크로/자동 얼방 매크로의 심각한 오류를 잡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렉사르 서버 허접 법사 "물맛이좋아요" 입니다.

그 동안 만들어 두었고 올려 두었던 매크로들을 정리해서 올려 보겠습니다.

새로 추가한 매크로 들도 있어요.

제가 주로 법사/사제를 플레이 하기 때문에 법사/사제 매크로 들이구요.

좀 많아서 목차도 만들어 놨습니다...-ㅅ-;;;


★ 목차

■ Macro 사용법 링크

■ UI 설치 방법 링크

■ SuperMacro 사용법

■ 마법사 매크로

○ 라면 법사 - SuperMacro 필요없음

○ 라면 법사  Plus - SuperMacro 필요함

○ 물맛표 양변 매크로 - SuperMacro 필요함

○ 얼방 매크로 - SuperMacro 필요함

○ 낙스라마스의 눈 처리 매크로(신버전) - SuperMacro 필요함

○ 신비한 폭발(자동 얼방) 매크로 - SuperMacro 필요함

■ 사제 매크로

○ 부활 매크로 - SuperMacro 필요없음

○ 라면 힐러 - SuperMacro 필요없음

○ 라면 힐러 Plus - SuperMacro 필요함

○ 라면 힐러 Plus(소실 제거 버전) - SuperMacro 필요함

○ 언데드 속박 매크로(신버전) - SuperMacro 필요함

○ 소생 / 어둠의 권능:고통 + 흡혈을 버튼 하나로- SuperMacro 필요함

■ 기타 매크로

○ 풀링 매크로



=====================================================================================



Macro 사용법 링크

기본적인 매크로 사용법을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그림을 보시면서 하나씩 따라해 보시면 쉽게 매크로를 사용하실 수 있으실 껍니다.

매크로의 세계로 오세요^^;;;


UI 설치 방법

UI 기본 사용방법/설치 방법을 모르시는 분은 다음 링크를 보고 배워보세요^^


■ SuperMacro 사용법 - 다운로드(SuperMacro 3.12, 한글화 damjau님)


- SuperMacro는 "World of WarcraftInterfaceAddOnsSuperMacro" 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SuperMacro는 매크로의 255 byte 제한을 풀어주는 아주 고마운 UI 입니다.

/매크로 라고 치면 매크로 창이 뜹니다.

수퍼 매크로를 설치 했다면 매크로 입력하는 부분이 창이 2개가 뜰 것입니다.



- 왼쪽에 매크로 명령 입력 오른쪽에 확장 LUA 입력이 보이시나요?




위쪽에 보면 새로운 계정 매크로/새로운 캐릭터 매크로 라고 보이죠?

계정 매크로는 거기 만들어 놓으면 그 계정에 다른 케릭터도 공유 한다는 것이구요

케릭터 매크로는 그 케릭터만 쓴다는 것입니다.

둘 중에서 하나 골라서 선택해 보자구요.




그러면 오른쪽에 새 창이 뜰 겁니다.

일단 매크로의 이름을 써 주시고..

이름은 뭐 별로 중요하지가 않으니 대충 써도 됩니다.

그리고 아이콘을 정하시구요..

맘에 드는 아이콘 암꺼나 쓰면 되지만..

순간 치유 매크로 인데 정신 분열 들어가 있음 좀 이상하잖아요?

하여튼 적절하게 골라서 넣어주세요..



그럼 왼쪽에 새로운 매크로 아이콘이 생겼을 것입니다.

하지만 안에 든것은 아무 것도 없겠죠?

매크로를 만들어 넣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 번 테스트 해볼 까요?


왼쪽 -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msg();


이렇게 쓰시구요..(붙여넣기 하심 되용)


오른쪽 -  확장 LUA 입력



function msg()
SendChatMessage("SuperMacro 잘 돌아 갑니다.")
end;


이제 매크로 아이콘을 스킬창으로 드래그 하시구요~

한번 사용해 보세요~

메세지가 정상적으로 출력 된다면....잘 돌아가는것이겠죠^^?


2006/2/7 추가

SuperMacro 3.12 버전 이상에 보시면 새로운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매크로 를 입력하시면 나오는 SuperMacro 창 좌측 하단에 보면

일반/수퍼 라는 탭이 생겼는데요

그 중 수퍼 탭을 클릭하시면

기존 처럼 매크로 입력/확장 LUA 입력 을 나눌 필요 없이

한방에 7000자 까지 쓸 수 있는 새로운 매크로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비한 폭발(자동 얼방) 매크로는 이 새로운 수퍼 매크로를 사용했답니다^^

한글화 해주신 damjau님 감사합니다ㅠ.ㅠ..


■ 마법사 매크로

○ 라면 법사 - SuperMacro 필요없음

- 기능

1. 타겟이 없을 때 아무일 없음;;

2. 타겟이 적대적일 때 얼음화살로 공격

3. 타겟이 아군이고 타겟의 타겟이 적대적 일 때 타겟의 타겟에게 얼음화살로 공격

4. 타겟이 아군일 때 공격 후에도 타겟 유지

- 탱커 선택 후 계속 매크로 버튼만 누르면 탱커가 치고 있는 몹을 계속 1.4 하며 탱커가 다른 몹을 치더라도 탱커가 치는 몹을 따라서 계속 1.4하게 됨


- 코드

/script local t="target";if(UnitExists(t))then e=not UnitCanAttack("player",t);f=UnitCanAttack(t,"targettarget");if e and f then AssistUnit(t);end;CastSpellByName("얼음 화살");if e and f then TargetLastTarget();end;end;


○ 라면 법사  Plus -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1. 라면 법사 얼음 화살 매크로 기능과 동일

2.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매크로를 실행하면 잔달라 + 단명 + 냉정 + 아케인


- 코드

내용이 너무 많아서 링크-ㅅ-;;

○ 물맛표 양변 매크로 -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0. 매크로의 이름을 "변이" 로 만드셔야 합니다.

1. 변이를 시전 하면서 대상의 레벨과 이름을 표시해 줍니다.

2. 대상이 변이를 시전할 수 없는 대상이라면(예: 언데드, 아군 등)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3. 대상과의 거리를 체크하여 양변을 할 수 없는 거리라면 양변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4. Alt 키를 누른 상태로 매크로를 시전하면 냉정 + 변이를 시전 합니다.


- 코드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local a,b,c,d;a="target"b=UnitCreatureType(a)d=GetActionID("변이")c=IsActionInRange(d)if UnitCanAttack("player",a)and c==1 and (b=="야수"or b=="인간형"or b=="동물")then CastPomByAlt()PolymorphMsg()end;CastSpellByName("변이")

확장 LUA 입력

function CastPomByAlt()
if(IsAltKeyDown())then CastSpellByName("냉정")SpellStopCasting()end;end;
function PolymorphMsg()
d=UnitLevel("target")SendChatMessage("[Lv "..d.."] <%t>을(를) 앙변 합니다!")end;
function GetActionID(SpellName)
local ActionID=nil,k;for i=1,72 do k=GetSpellText(i);if(k==SpellName)then ActionID=i;break;end;end;return ActionID;end;
function GetSpellText(slot)
GameTooltip:SetAction(slot);
return GameTooltipTextLeft1:GetText();end;

○ 얼방 매크로 -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0. 매크로의 이름을 "얼음 방패" 로 만드셔야 합니다.

1. 얼방 사용 가능시 얼방 사용

2. 얼방 사용 불가시 매서운 한파 사용

3. 얼방 연타시에도 얼방이 풀리지 않음

- 코드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if(CheckCoolTimeByName("얼음 방패")<2)then SpellStopCasting()CastSpellByName("얼음 방패")else CastSpellByName("매서운 한파")end;


확장 LUA 입력

function CheckCoolTimeByName(SName)
local ctBlock; _,ctBlock,_=GetActionCooldown(GetActionID(SName)) return ctBlock;end;
function GetActionID(SpellName)
local ActionID=nil,k;for i=1,72 do k=GetSpellText(i);if(k==SpellName)then ActionID=i;break;end;end;return ActionID;end;
function GetSpellText(slot)
GameTooltip:SetAction(slot);
return GameTooltipTextLeft1:GetText();end;


○ 낙스라마스의 눈 처리 매크로(신버전) -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1. 낙스라마스의 눈에게 화염 작열이 시전 가능한 거리라면 화염 작열 사용

2. 화염 작열을 시전 가능한 거리보다 멀지만 얼음 화살은 사용할 수 있는 거리일 때 냉정 + 얼음 화살 사용

3. 낙스라마스의 눈이 죽었다면 처리 메세지 출력

4. 처리 불가능한 거리일 땐............아무일 없죵-ㅅ-;;;

5. 처리 했는지 여부를 낙스라마스의 시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식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처리했더라도 메세지는 뜹니다아~


- 코드

매크로 명령 입력

/대상 낙스라마스의 눈
/script if UnitCanAttack("player","target")and(UnitName("target")=="낙스라마스의 눈") then AttackNa()end;EliminateMsg();


확장 LUA 입력

function AttackNa()
if(IsActionInRange(GetActionID("화염 작열"))==1) then CastSpellByName("화염 작열") elseif(IsActionInRange(GetActionID("얼음 화살"))==1)then CastSpellByName("냉정")SpellStopCasting()CastSpellByName("얼음 화살")end;end;
function EliminateMsg()
if UnitHealth("target")==0 then SendChatMessage("낙스라마스의 눈이 죽었습니다.")end;end;
function GetActionID(SpellName)
local ActionID=nil,k;for i=1,72 do k=GetSpellText(i);if(k==SpellName)then ActionID=i;break;end;end;return ActionID;end;
function GetSpellText(slot)
GameTooltip:SetAction(slot);
return GameTooltipTextLeft1:GetText();end;


○ 신비한 폭발(자동 얼방) 매크로 - SuperMacro 3.12 이상 필요함

수퍼 매크로 새 버전이 나왔길래 그 기념으로 만들어 봤습니다.

수퍼 매크로 3.12 버전 이상을 설치하시고  /매크로 라고 누르시면

매크로 창 왼쪽 아래에 일반/수퍼 라고 새로 생긴 탭이 있답니다.

거기서 수퍼 탭을 누르시고 거기에서 매크로를 만들면 됩니다.

따로 일반 매크로입력/확장 매크로 입력을 구분하지 않고

한방에! 7000자 까지 매크로가 사용가능하군요 와우!!



- 기능

1. 신비한 폭발 사용

2. 피가 1000이하로 감소하였을 경우 얼음 방패 사용

3. 피가 1000이하이고 얼음 방패가 쿨타임 중일 때 매서운 한파 사용

4. 얼음 방패도 매서운 한파도 쿨 타임 중일 때.....그냥 죽을 때 까지 신폭 사용-ㅅ-;;;

5.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사용하면 얼방/한파 사용 하지 않고 계속 신폭 사용

- 코드 첫 번째 줄 중간에 보시면 if(UnitHealth("player")<1000)then hp=1 end; 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서 1000을 다른 숫자로 고쳐 주시면 얼방 사용 hp를 조절하실 수 있습니다.

- 이 매크로의 치명적인 결함은.....매크로의 아이콘이 신폭이 아니라 얼방..의 아이콘 이랍니다-ㅅ-;;;


- 코드

/script local hp,AltKeyUp;hp=0;AltKeyUP=not IsAltKeyDown();if(UnitHealth("player")<1000)then hp=1 end;if(AltKeyUP and hp ==1 and CheckCoolTimeByName("얼음 방패")<2)then SpellStopCasting()CastSpellByName("얼음 방패")elseif(AltKeyUP and hp==1 and CheckCoolTimeByName("매서운 한파")==0)then CastSpellByName("매서운 한파")else CastSpellByName("신비한 폭발")end;function CheckCoolTimeByName(SName)local ctBlock; _,ctBlock,_=GetActionCooldown(GetActionID(SName)) return ctBlock;end;function GetActionID(SpellName)local ActionID=nil,k;for i=1,72 do k=GetSpellText(i);if(k==SpellName)then ActionID=i;break;end;end;return ActionID;end;function GetSpellText(slot) GameTooltip:SetAction(slot);return GameTooltipTextLeft1:GetText();end;


■ 사제 매크로

○ 부활 매크로 - SuperMacro 필요없음

- 기능

1. 타겟을 클릭 한 후 매크로를 시전하면 부활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2. 타겟이 없는 경우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부할 스킬 시전은 됩니다.)

- 코드

/script a="target";if(not UnitExists(a))then CastSpellByName("부활")else b=UnitIsFriend("player", a)CastSpellByName("부활")if UnitHealth(a)==0 then SendChatMessage("<%t>님에게 부활을 시전합니다.")end;end;


○ 라면 힐러 - SuperMacro 필요없음

- 기능

1. 타겟이 없는 경우 자신에게 힐을 시전합니다.

2. 타겟이 아군인 경우 타겟에게 힐을 시전합니다.

3. 타겟이 몹 혹은 적군인 경우 - 타겟이 바라보고 있는 대상에게 힐을 시전합니다. 그리고 그 대상을 유지 합니다.

- 몹을 클릭한 상태에서 그 몹에게 계속 힐(?) 을 넣으면 몹이 공격하는 대상에게 힐이 들어갑니다. 그리고 몹이 다른 대상을 공격한다면 힐하는 대상 역시 바뀝니다. 보스 전에 좋겠지요.

- 코드

/script if(not UnitExists("target"))then TargetUnit("player");end;t="target";e=not UnitCanAssist("player",t);if(e)then AssistUnit(t);end;CastSpellByName("순간 치유");if(e) then TargetLastTarget();end;


사제의 "순간 치유" 를 기본으로 만들었습니다.

다른 클래스/다른 스킬은 CastSpellByName("순간 치유") 부분을 다른 스킬로 바꿔 넣으시면 됩니다.

레벨을 정하고 싶으시다면 CastSpellByName("순간 치유(3 레벨)") 과 같은 식으로 바꿔 주시면 됩니다.

○ 라면 힐러 Plus -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1. 대상이 없을 때 - 자신에게 치유 스킬 사용

2. 대상이 아군 일 때 - 아군에게 치유 스킬 사용

3. 대상이 적군 일 때 - 대상이 공격하고 있는 아군에게 치유 스킬 사용(그리고 적군을 타겟 유지)

4. 힐을 하는 대상의 잃은 체력에 따라서 다른 랩의 치유 스킬 사용 사용

5. 잃은 체력이 1000 이상일 때 최고랩 순치, 잃은 체력이 1000미만 400 이상 일 때 5랩 순치 그 400 미만일 때 2랩 순치 사용

6. 대상이 적군 이고 공격하는 대상이 플레이어 일때 - 소실 사용

7. 대상이 아군이고 대상의 대상의 대상이 플레이어 일때 - 소실 사용

- 코드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l=7;if(not UnitExists("target"))then TargetUnit("player")end;CastFlashHealOrFade(l);

확장 LUA 입력

function CastFlashHealOrFade(l)
f=UnitCanAttack("player","target")if(f and UnitName("player")==UnitName("targettarget"))then CastSpellByName("소실")TargetLastTarget()elseif(not f and UnitName("player")==UnitName("targettargettarget"))then CastSpellByName("소실")TargetLastTarget()else if(f)then AssistUnit("target")end;local dhp=UnitHealthMax("target") - UnitHealth("target");if(dhp < 400) then l=2 elseif(dhp < 1000)then l=5 end;CastSpellByName("순간 치유("..l.." 레벨")end;if(f)then TargetLastTarget()end;end;

○ 라면 힐러 Plus(소실 제거 버전) -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1. 대상이 없을 때 - 자신에게 치유 스킬 사용

2. 대상이 아군 일 때 - 아군에게 치유 스킬 사용

3. 대상이 적군 일 때 - 대상이 공격하고 있는 아군에게 치유 스킬 사용(그리고 적군을 타겟 유지)

4. 힐을 하는 대상의 잃은 체력에 따라서 다른 랩의 치유 스킬 사용 사용

5. 잃은 체력이 1000 이상일 때 최고랩 순치, 잃은 체력이 1000미만 400 이상 일 때 5랩 순치 그 400 미만일 때 2랩 순치 사용

- 코드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l=7;if(not UnitExists("target"))then TargetUnit("player")end;CastFlashHeal(l);


확장 LUA 입력


function CastFlashHeal(l)
t="target"f=not UnitCanAssist("player",t)if(f)then AssistUnit(t)end;
local dhp=UnitHealthMax(t)-UnitHealth(t);if(dhp<400)then l=2 elseif(dhp<1000)then l=5 end;CastSpellByName("순간 치유("..l.." 레벨")if(f)then TargetLastTarget()end;end;

○ 언데드 속박 매크로 -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0. 매크로의 이름을 "언데드 속박" 으로 만드셔야 합니다.

1. 언데드 속박을 시전 하면서 대상의 레벨과 이름을 표시해 줍니다.

2. 대상이 언데드 속박을 시전할 수 없는 대상이라면(예: 인간형 등)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3. 대상과의 거리를 체크하여 속박 할 수 없는 거리라면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local a,b,c,d;a="target"b=UnitCreatureType(a)d=GetActionID("언데드 속박")c=IsActionInRange(d)if UnitCanAttack("player",a)and c==1 and (b=="언데드")then ShackleUndeadMsg()end;CastSpellByName("언데드 속박")

확장 LUA 입력

function ShackleUndeadMsg()
d=UnitLevel("target")SendChatMessage("[Lv "..d.."] <%t>을(를) 속박합니다.")end;
function GetActionID(SpellName)
local ActionID=nil,k;for i=1,72 do k=GetSpellText(i);if(k==SpellName)then ActionID=i;break;end;end;return ActionID;end;
function GetSpellText(slot)
GameTooltip:SetAction(slot);
return GameTooltipTextLeft1:GetText();end;


○  소생 / 어둠의 권능:고통 + 흡혈을 버튼 하나로- SuperMacro 필요함


- 기능

1. 대상이 없을 때 - 자신에게 소생 사용

2. 대상이 아군일 때 - 대상에게 소생 사용

3. 왼쪽 alt키를 누른상태 이며 대상이 아군일 때 - 아군이 공격하는 대상에게 어둠의 권능: 고통 사용, 만약 상대가 고통에 걸려 있는 경우 흡혈 사용 그리고 타겟 유지

4. 대상이 적군일 때 - 대상에게 어둠의 권능: 고통 사용,  만약 상대가 고통에 걸려 있는 경우 흡혈 사용

5. 왼쪽 alt키를 누른상태 이며 대상이 적군일 때 - 적군이 공격하는 대상에게 소생 사용 그리고 타겟 유지


- 코드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t="target"p="player";if(not UnitExists(t))then TargetUnit(p)Renew()else e=UnitCanAttack(p,t)a=IsAltKeyDown();if(e) then if(a)then Renew() else PainUnsum()end;else if(a)then PainUnsum()else Renew()end;end;end;


확장 LUA 입력

function Renew()
local t="target"local e=not UnitCanAssist("player",t)if(e)then AssistUnit(t)end;CastSpellByName("소생")if(e)then TargetLastTarget()end;end;
function PainUnsum()
local t="target"local e=not UnitCanAttack("player",t)local f=UnitCanAttack(t,"targettarget");if(e)and(f)then AssistUnit(t)end;Unsum()if(e)and(f)then TargetLastTarget();end;end;
function Unsum()
local k=0;local j=0;local a="Interface\\Icons\\Spell_Shadow_ShadowWordPain";b="InterfaceIconsSpell_Shadow_UnsummonBuilding";for i=1,16 do if(a==UnitDebuff("target", i)) then k=1;end;if(b==UnitDebuff("target", i)) then j=1;end;end; if(k==1 and j==0) then CastSpellByName("흡혈의 선물") else CastSpellByName("어둠의 권능: 고통");end;
end;

■ 기타 매크로

○ 풀링 매크로

- 기능

1. 총/활/투척/석궁/마법봉 등으로 사용 가능(무기 마다 다른 매크로를 만들 필요 없음)

2. 풀링 가능한 거리면 메세지를 출력하고 사격 합니다.

3. 풀링 불가능한 거리라면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4. 몹의 레밸 표시는 서비스..

- 메세지가 출력 되지 않는 다면 해당 무기의 사용스킬(마법봉 이라면 "마법봉 발사" 스킬)을 스킬창 아무곳이나 넣어두면(보이지 않는 곳에도 상관 없음) 메세지가 출력 될 것입니다.

- 코드


매크로 명령 입력

/script local Spell=GetRangedWeaponSpellByType();if(Spell ~=nil)then CastSpellByName(Spell)SendPullMSG(Spell)else SendChatMessage("장거리 무기가 없습니다.")end


확장 LUA 입력

function GetRangedWeaponSpellByType()
local rwCode, rwType, rwSpell;_,_,rwCode=strfind(GetInventoryItemLink("player",18),"(%d+):") if(rwCode ~= nil)then _, _, _, _, _, rwType = GetItemInfo(rwCode)else rwSpell = nil;end;if rwType then if rwType == "총기류" then rwSpell = "총 발사";elseif rwType == "활류" then rwSpell = "활 발사";elseif rwType == "석궁류" then rwSpell = "석궁 발사";elseif rwType == "투척 무기류" then rwSpell = "투척"; elseif rwType == "마법봉류" then rwSpell = "마법봉 발사";end;return rwSpell;end; end;
function SendPullMSG(Spell)
c=IsActionInRange(GetActionID(Spell));
if UnitCanAttack("player","target") and UnitHealth("target")>0  and c==1 then d=UnitLevel("target")SendChatMessage("[Lv "..d.."] <%t>을(를) 풀링합니다.")end;end
function GetActionID(SpellName)
local ActionID=nil,k;for i=1,72 do k=GetSpellText(i);if(k==SpellName)then ActionID=i;break;end;end;return ActionID;
end;
function GetSpellText(slot)
GameTooltip:SetAction(slot);
return GameTooltipTextLeft1:GetText();end;



테스트 했던게 너무 엉성 했던지-ㅅ-;;


몇가지 문제가 발생했었습니다...


휴...다 수정했는것 같아요..


이제 혹시 오류가 발견되더라도...더이상의 수정은 없을껍니다-ㅅ-;;

2006/09/25 03:17 2006/09/25 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