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의 원리

 

간단히 말하면 인체의 각 세포에 포함된 수소원자핵, 즉 양성자의 자기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인체의 대부분이 물인 것처럼 세포의 7할에는 양성자가 포함되어 있다.  양성자는 팽이처럼 축을 갖고 회전하는 작은 막대자석에 비유될 수 있다. 보통 때 이 양성자의 회전축은 임의의 방향을 향하면서 지구처럼 자전하고 있는데, 외부자장의 영향으로 세차운동을 시작한다. 이때 세차운동과 동일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가하면 핵자기공명이 일어나 양성자가 에너지를 흡수한다.  

어느 정도나 강력한 자기장을 걸어주나?
정해진 범위가 있지만 대개는 FM방송과 같은 정도인 약 64메가헤르츠의 고주파 자기장이다. 그 다음에 그 고주파 자기장을 끊으면, 양성자는 자기가 흡수했던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그 때 양성자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컴퓨터 처리하면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건강한 조직과 병으로 이상이 생긴 조직간에 양성자가 방출하는 에너지에 차이가 있을까? 그렇다.
팽이가 관성으로 운동하다가 얼마 안 있어 정지하듯 이 전자파를 끊으면 양성자가 내는 신호도 점점 감소한다.
그런데 병의 종류에 따라 그 감소하는 방식이 다르다. 컵에 들어 있는 물은 다른 물체에 속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호가 잘 감소하지 아니한다. 암세포는 물의 양이 다른 세포보다 많아서  신호가 잘 감소되지 않으므로 건강한 세포와 구별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한 조직과 병으로 이상이 생긴 조직간에 양성자가 방출하는 에너지에 차이가 있을까?
이 전자파를 끊으면 양성자가 내는 신호도 점점 감소한다. 그런데 병의 종류에 따라 그 감소하는 방식이 다르다. 컵에 들어 있는 물은 다른 물체에 속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호가  잘 감소하지 아니한다. 암세포는 물의 양이 다른 세포보다 많아서  신호가 잘 감소되지 않으므로 건강한 세포와 구별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CT 와 MRI 의 차이점
쉽게 비교할 수 있는 CT와 MRI의 차이를 보면, MRI는 자석의 힘과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CT는 X-ray와 컴퓨터를 이용한다. CT는 단면의 영상으로 진단하는 반면 MRI는 단면, 횡면, 사면 등 여러 면으로 검사가 가능하다.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는 피폭의 우려가 있으나 MRI는 아직까지 유해성을 논할 수 없다고 본다. 뇌신경계통의 검사나 골반부, 근육골격계에서는 그 침윤 정도를 보다 더 세밀하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폐결절(폐의 검사), 소아기계(복부검사), 급성외상에 의한 출혈(특히 교통사고 직후 검사)은 CT가 MRI보다 진단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48시간의 혈액 응고시간이 지난 후의 교통사고 환자는 MRI가 좋다. MRI 검사를 받을 수 없는 분도 있다. 예를 들면 심박동기를 가진 환자, 심판막술을 받은 환자, 철성분이 강한 금속을 지니신 분은 자장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곤란하다. 또한 MRI 검사는 약 1시간이라는 많은 검사시간 때문에 협조가 안되는 환자나 어린이의 검사는 필히 진정제를 투입하여 잠을 자는 상태에서만 검사가 가능하며, 기계 자체가 CT보다 커서 밀실공포증 환자도 어려움이 있다.

 


2005/05/05 01:38 2005/05/05 01:38

거대한 소리를 방출하는 블랙홀

resize




국제 천문학자들이 거대한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음파를 관측했다. 사상 최초인 이번 발견은 천문물리의 방대한 신비 하나를 풀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53시간 동안 찬드라(Chandra) X선 망원경에 의해서 관측된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소리의 진동은 “인간의 청각 한계보다 1015 (a million billion) 분의 1이나 낮았다”고 볼티모어 우주망원경연구소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의 부국장 Bruce Margon이 워싱톤 NASA 본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설명했다.

이번 관측을 위해서 연구원들은 찬드라를 지구에서 2억 5천만 광년 떨어진 페르세우스좌를 포함하는 성단 중심지역에 고정시켰다.

은하계 사이에 위치한 음파의 발견으로 오래 전부터 천문학자들이 제기해왔던 문제, 즉, 이 성단의 중심 지역에 위치한 더운 가스가 100억년이 지나는 동안도 식지 않았는가 ?에 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가스를 가로지르면서 음파는 흡수되었고 그들의 에너지는 열로 변환되었다”, 이는 어떻게 가스가 더운 채로 남아있을 수 있는가를 설명해줄 수 있다고 NASA 의 Goddard 우주비행센터(메릴랜드 소재)의 천문물리학자 Kim Weaver는 강조했다.

방출된 음파는 영상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시각화되어 광도의 미세한 차이도 드러나게 할 수 있었다. 연구원들의 계산에 따르면 블랙홀은 중간 도보다 57 옥타브 아래의 내림 나 (시 플랫)에 대응되는 음을 방출한다고 Margon부국장은 설명했다. 피아노는 보통 7옥타브를 갖는다.

“이들 음파는 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은하계의 성단이 어떻게 커질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캠브리지 천문물리연구소의 Steve Allen박사는 평가한다. 음파에 의해서 수송된 에너지는 폭발 국면에 있는 거대한 별들인 1억 개의 초신성으로 결합된 에너지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라고 천문물리 연구소의 Andy Fabian교수는 덧붙였다.

 


2005/05/05 01:37 2005/05/05 01:37

솔리톤과 그 응용에 대해

 

솔리톤

 

입자처럼 행동하는 고립파

에너지가 집중되어 안정한 덩어리로서 전파되어 가는 비선형 파동(非線形波動)이다. 솔리톤이 서로 충돌할 때에는 솔리톤은 부서지지 않고 서로 통과시키고, 매질에 불균일성이나 불순물이 개재되어 있어도 그다지 크게 산란되지 않고 그대로 전파해 간다. 이러한 뜻에서 안정하다. 일정한 깊이 h인 도랑 또는 운하에서 파동을 일으키면, 단 하나의 파동의 산마루가 모양을 바꾸지 않고 일정한 속력으로 전파한다는 것을 1844년 영국의 J.S.러셀이 실험적으로 발견하여 이것을 솔리톤이라 불렀다.


솔리톤 광 전송

광섬유 속을 전파하는 광 펄스에도 솔리톤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미국 AT&T 산하 벨 연구소의 연구 결과로 알게 되었다.
광섬유 속을 전파하는 광 펄스의 폭은 광섬유의 파장 분산에 의해 보통은 넓어진다.
그것은 단파장 쪽이 빨리 진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이 솔리톤의 경우에는 폭이 넓어지지 않고 일정한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이론적으로는 펄스의 폭을 무한정으로 좁게 할 수 있어서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광섬유 속에서는 펄스의 강도 등 어떤 조건에서 펄스 폭이 수축하는 위상 변조 효과가 발생한다.
이 펄스 폭의 수축과 확산이 균형을 이루게 되면 펄스는 형이 변하지 않는 광 솔리톤으로 된다.
또 광섬유의 광 손실로 감쇄되는 정도와 펄스 폭의 수축·확산을 미리 감안하여 송출하는 동적 솔리톤(dynamic soliton)은 1990년에 일본의 NTT가 발표하였는데,이것을 이용하는 것이 광 솔리톤 통신이다.
일본의 NTT와 KDD,미국의 AT&T,영국의 BT 등이 광 솔리톤 통신을 장래의 고속 대용량 통신 기술로서 연구하고 있다.
이미 20~100GHz는 실험실 연구가 완료되었다.
KDD는 1994년에 20GHz로 1만 km 전송하는 데 성공하였고,NTT는 1995년에 80GHz로 500km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였다.
한편 AT&T사는 이에 앞서 1993년에 20GHz로 1만 3천km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05/05/05 01:36 2005/05/05 01:36

상대성 이론 강의록

 

http://pancake.uchicago.edu/~carroll/notes/

Sean Carroll, Lectures Notes on General Relativity

위의 링크를 따라가면 다운받을 수 있고, 덤으로 일반상대론 교재에 대한 평가도 볼 수가 있담니다~

저자는 MIT 대학원 상대론 강의에서 사용했다고 하는군요~~~

 

2005/05/05 01:34 2005/05/05 01:34
Posted at
Last updated at
Posted by
Filed under ◇ PhysicsⅡ◇
RSS 2.0 feed
ATOM 1.0 feed
Response
No Trackback No Comment
You can track responses via RSS / ATOM feed
RSS 2.0 feed
ATOM 1.0 feed

모래 폭풍

출처 : 가끔씩 쉬고싶을때~


 
마치 특수효과를 보는듯 하네요...
 
우린 황사만 와도 고생하는데... 쩝~
 

2005/05/04 01:33 2005/05/04 01:33
Posted at
Last updated at
Posted by
Filed under ◆ 美 ◆
RSS 2.0 feed
ATOM 1.0 feed
Response
No Trackback No Comment
You can track responses via RSS / ATOM feed
RSS 2.0 feed
ATOM 1.0 feed

지금 머물고 있는 조교실 정문

resize


   여기는 우리 19호 입구!!

    대문에는 경주 야유회 가서 찍은 방사람들의 단체사진이 ^-^

 

사진을 위의 공고사항을 보면 옆방 주민의 잦은 출입으로 공부 '만' 에 포인트를 뒀으나

언제까지나 희망사항일 뿐 ㅋㅋ

항상 정겨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resize

 

지난번에 빵집에서 얻어온 화분~
 
아직도 시들지 않고 있네 -ㅁ-;;
 
나의 사랑을 듬뿍 받아서 그런가 ㅋ
 
 

2005/05/04 01:30 2005/05/04 01:30
Posted at
Last updated at
Posted by
Filed under ♡ 삶의 조각 ♡
RSS 2.0 feed
ATOM 1.0 feed
Response
No Trackback No Comment
You can track responses via RSS / ATOM feed
RSS 2.0 feed
ATOM 1.0 feed

의학물리

 

      한국의학물리학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의학물리학이란 "인간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건강에 관한 의학적 연구에서 물리학의 의학적 이용과 물리학적원리 또는 기술응용의 전부를 포함하는 학문"

다시 말하면 의학물리학(Medical physics)은 물리학의 한 응용분야로서 물리적인 개념과 방법을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건강 등 의료향상에 기여하는 독립된 학문으로서 물리학의 원리를 생물학과 의학에 적용하는 생체물리학(Biophysics), 의료장치의 개발과 성능을 관리하는 의용물리공학(Medical engineering) 및 방사선장해의 평가와 방사선관리를 위한 보건 물리학(Health physics)으로 분류하고있다.

뭐 더 자세한 내용은 위에 링크를 걸어놓은 홈페이지를 참고하기를...

 


2005/05/02 01:29 2005/05/02 01:29
Posted at
Last updated at
Posted by
Filed under ◇ PhysicsⅡ◇
RSS 2.0 feed
ATOM 1.0 feed
Response
No Trackback No Comment
You can track responses via RSS / ATOM feed
RSS 2.0 feed
ATOM 1.0 feed

상대론 30일만에 끝내기

 

클릭!

인하대학교 차동우 교수님의 상대성이론 강의록입니다...

현대 물리에서 특수상대성이론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기억이 나는군요...

특수상대론 관련된 책은 대부분이 어렵운 수식으로 가득 차있기 때문에 공부하기 어려운데

이 강의록은 내용이 부실한 것도 아니고 학부때 보기에 적당한 난의도를 가지고 있는거 같더군요...

 


2005/05/02 01:28 2005/05/02 01:28
Posted at
Last updated at
Posted by
Filed under ◇ PhysicsⅡ◇
RSS 2.0 feed
ATOM 1.0 feed
Response
No Trackback No Comment
You can track responses via RSS / ATOM feed
RSS 2.0 feed
ATOM 1.0 feed

극미의 세계, 극대의 세계

 

현대물리학과 천문학의 탐색은 끝이 없어 보입니다.

한쪽은 원자현미경으로, 다른한쪽은 천체망원경으로...

한쪽은 안으로 안으로, 다른한쪽은 밖으로 밖으로...

결국 그들은 똑같은 공간을 보고 말았습니다.



텅비고, 적멸한 空!!!

똑 같은 구조의 존재 모습!!!



그리고,

현대물리학과 천문학은 인간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우주속의 먼지같은 존재가 아니라,

내 몸속에 숱한 태양계와 은하계를 내재한 거룩한 존재!



안으로 우주를 품고,

겉으로 우주를 집으로 해서

왜소하지도, 거대하지도 않아 보입니다.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엔 '자'로 잴게 별로 없어 보입니다.

그동안 알고 있었던 내 인식의 '자'도 아마 틀렸는지 모를 일입니다.



 

1미터.





사람들의 일반적인 스케일이죠.

10월의 따뜻한 날 한 남자가 공원에서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그의 곁에는 여러가지 물건들이 있군요.

이 사진의 작은 사각형 안의 공간이 다음 사진 내용이 되는겁니다.



"인간은 모든것의 척도이다."

소피스트였던 프로타고라스의 말을 인용하며, 인간에서부터 시작해봅니다.



이 그림을 잘 기억해주세요.











10센티미터.

더 조밀한 비율입니다.

이 사진은 손등을 조금 확대해서 보여준 그림입니다.











1센티미터

손등의 그림을 더 확대한 모습이죠.

손등의 주름은 그만큼 손이 유연성이 있다는걸 의미한답니다.











0.1 센티미터(1밀리미터)

살 아래엔 작은 혈관이 흐르겠죠?











0.1밀리미터.

머나먼 별이 익숙하지 않은것처럼,

우리의 몸이라고 해도 이렇게 확대된 부분은 익숙하지가 않군요.











0.01밀리미터

하얀 림프구 세포입니다.











1마이크로미터.

세포의 핵으로 들어가는겁니다.











1000 옹스트롬. (0.1마이크로미터 , 0.0000001미터)

기다란 분자 구조가 얽히고 ?霞淺 세밀한 DNA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DNA구조는 모든 세포 내의 핵에 존재합니다.











100 옹스트롬

DNA의 2중 나선 구조지요.











10 옹스트롬

분자단위의 스케일입니다.











1 옹스트롬

원자 단위의 스케일입니다.

핵 주변으로의 전자 구름이 보입니다.











0.1옹스트롬

탄소원자입니다.











1 피코미터 (0.000000000001미터)

원자의 핵.











0.1 피코미터

좀 더 가까이서 볼까요?











0.01 피코미터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는 원자의 핵 입니다.











0.001 피코미터

현대 물리학에서 최근에 탐구하기 시작한 양성자의 안쪽 부분이지요.











0.0001 피코미터

더 확대해보면 무엇이 있을까요...









다시 시작합시다.











인간으로부터 다시 시작해봅시다.











10미터.

남자와 여자가 같이 공원에 소풍을 온 그림이죠.











100미터.

고속도로와 부두가 보이네요.











1킬로미터

도시가 보입니다.











10킬로미터.

도시의 중심도 보이고, 여러가지가 보이는군요. 모든것이 나타납니다.











100킬로미터.

시카고의 거대도시 영역입니다. 더불어 호수의 끝이죠.











1000킬로미터.

상공의 낮은 궤도에서 관찰한 모습입니다.

1000만이 넘는 사람들의 거주지가 보이지요.











만 킬로미터.

푸른 하늘과 하얀 구름, 어두운 바다. 갈색의 땅. 동쪽으로 도는 지구.

1967년이 되서야 인간은 지구를 지구 밖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되었지요.










10만 킬로미터.











100만 킬로미터.

달의 궤도입니다.











1000만 킬로미터.

지구가 태양을 도는 궤도입니다.











1억 킬로미터.

다른 행성들의 궤도도 보이는군요.











10억 킬로미터. (~7AU)

태양계입니다. 다른 행성들은 잘 보이지 않지만

태양 하나는 참 잘 보이네요. 멀리 목성이 궤도가 보입니다.











100억 킬로미터.

태양계 행성들 보일건 다 보입니다.











1000억 킬로미터.

태양도 작게 보이는군요.











1조 킬로미터.

오직 태양만이 보입니다.











10조 킬로미터 (대략 1광년)

빛이 1년을 여행해야 갈 수 있다는 거리인 1광년입니다.











10광년 (3파섹)











100광년

참 넓기도 한 우주~











1000광년

슬슬 은하의 윤곽이 드러납니다.











1만 광년

커다란 별들도 전체적으로 봤을땐 작은 입자같군요..

하나의 구름처럼 된 듯한 모양입니다.











10만광년

..











100만광년

더 넓게..











1000만광년(3메가 파섹)

그렇게 거대한 은하도 하나의 점으로..











1억 광년

우리 은하가 겨우 보이는군요..











10억 광년

대부분의 공간이 이렇게 비어있는것처럼 보입니다..

더 먼 공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

.







* 출처 : 영혼과 과학의 만남

 


2005/05/02 01:26 2005/05/02 01:26
Posted at
Last updated at
Posted by
Filed under ◇ PhysicsⅠ◇
RSS 2.0 feed
ATOM 1.0 feed
Response
No Trackback No Comment
You can track responses via RSS / ATOM feed
RSS 2.0 feed
ATOM 1.0 feed

최선의 준비

출처 : Miscellaneous Stories

 

『내일의 일을 훌륭하게 하기 위한 최선의 준비는 바로 오늘 일을 훌륭하게 완수하는 것이다.

 -엘버트 허버드 』

 


2005/04/29 01:24 2005/04/29 01:24
Posted at
Last updated at
Posted by
Filed under ◆ 삶을 풍유롭게 ◆
RSS 2.0 feed
ATOM 1.0 feed
Response
No Trackback No Comment
You can track responses via RSS / ATOM feed
RSS 2.0 feed
ATOM 1.0 f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