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sions
내가 고등학교 때부터 즐겨 듣는 앨범이다.
맬로딕 메탈의 대표적인 밴드인 스트라토바리우스의 대표작!
내가 고등학교 때부터 즐겨 듣는 앨범이다.
맬로딕 메탈의 대표적인 밴드인 스트라토바리우스의 대표작!
진실한 사과
사과할 때 가장 힘든 일은
자신이 틀렸음을 깨닫고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다.
자신에 대해 솔직해지는 1분은 자기를 기만한
며칠, 몇 달, 몇 년보다 값지다.
- 켄 블랜차드의《진실한 사과는 우리를 춤추게 한다》중에서 -
* 진실한 사과, 관계 회복의 지름길입니다.
상대를 살리고 동시에 자신을 살리는 길입니다.
진심으로 사과하는 순간 새로운 기쁨과 평화가 찾아옵니다,
새로운 관계,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
어제 양자 수업이 끝나고 나서 일주일을 잘 넘긴 기념으로 노래방에 갔다
흠 한 두달만에 간 노래방이 였지 ㅋ
이곳 노래방 인심이 정말 쥑이더군
노래방 기계에 표시된 시간을 보고 기계의 고장을 의심했다
250??????분????????
결국에 100분 정도 남겨 놓고 나왔다...
담에 갈땐 꼭 다 채우고 나오리 ㅋㅋㅋ
Liquid Tension Experiment
갠적으로 드림씨어터 노래를 다 좋아하긴 하지만
이 앨범은 첨 듣는 순간엔 이런 앨범이 있을 수 있다는데 대하여 놀랐고
그 후로 이 앨범을 들을때마다 아름다운면서도 엄청난 스피드로 나를 놀라게 한다.
벌써 봄이 온듯한 어제 오늘 날씨
어제 초저녁에 운동하러 나가는데 날씨가 하도 따사해서
채 눈이 녹지도 않은 잔디밭에 눕고 싶은 충동이 ~
눈이 많이 오더니 추워지기는 커녕 점점 따뜻하네...
어디 놀러가고 싶기도 하고 ㅋ
오늘 첫 수업을 들어갔는데 꽤 힘들더군...
말을 평소에 많이 않하는 편인데 1시간 넘게 떠들어 대야하니...
뭐 앞으론 이렇게 말을 많이 않해도 된다는게 정말 다행이다 ( 내 목소리가 죽어버리면 안되지 ㅋ )
그리고 그냥 아는거랑 남을 알려줄 만큼 아는거랑은 정말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도 새삼 알게 ?怜?/p>
흠... 혹시 오차론 모르는 사람은 물어보기를 ㅋㅋㅋ
SCIRUS : http://www.scirus.com/
Google scholar : http://scholar.google.com/
Vivisimo : http://www.vivisimo.com/
Librarian’s Index to the Internet : http://www.lii.org/
일단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기본적인 연구 방향을 잡기위해서 순서를 알아보면 아래와같다.
Research Steps
1. Define a Topic
2. Gather Background Information
3. Find Books & Other Material
4. Search for Journal & Magazine Articles
5. Retrieve Newspaper Articles
6. Locate Information in the POSTECH Library
7. Explore Web Resources
8. Evaluate Materials
9. Write the Paper
10. Cite Your Sources
출처 : http://chonnam.chonnam.ac.kr/%7Etbsong/ISI.htm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SCI (Science Citation Index)에는 SCI, SCI Expanded, JCR(Journal Citation Report) 의 3가지 Database가 있습니다. (삼성의학정보센터에서 인용)
SCI 등재 Journal이라고 할 때는 위의 3가지 Database가 혼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평가기관에서 선택한 Database에 따라서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체로 Impact Factor가 낮은 Journal(약0.4정도)의 경우 SCI Expanded나 JCR에는 수록되나 SCI에는 수록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ISI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 세계적인 학술지 평가색인을 만들고 있음 (연세대학교 의학도서관에서 인용)
: ISI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의 여러 제작물중 SCI, SCI Expanded, Sci Search, JCR 등의 차이점
SCI(Science Citation Index), SCI Expanded, Sci Search의 차이점
SCI는 전세계의 과학관련 journal 중, 중요한 3,500여종의 journal을 색인한 것으로
특정 article, book, patent 등이 얼마나 많이 인용되었는지, 또 어떤 다른 article에 인용되었
는지 서지사항까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SCI는 6가지 즉 인쇄물형태, CD-ROM, CD-ROM with Abstracts, Magnetic Tape, Web Acce
ss, Online 형태로 제작됩니다. 이중 Magnetic Tape으로 제작되는 SCI Expanded는 3,500
여종의 학술지에 2,100여종이 추가된 것이며, Online으로 접근가능한 것을 Sci Search라
고 하여 이것은 3,500여종에 1,900여종의 학술지가 추가된 것입니다.
▶ SCI Print Edition
격월간 발행 1961년부터 출판됨
Citation Index는 특정논문이 다른 논문에 인용된 것을 알 수 있게 함.
Source Index는 특정저자가 해당연도중 발표한 것을 알 수 있음.
Permutern Subject Index는 저자나 논문을 알지 못해도 주제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함.
▶ SCI Expanded (Magentic Tape Edition)
updated weekly 1974년부터
3,500여종에 2,100여종을 추가로 수록함
ISI Document delivery service를 통해 원문을 신청할 수 있음.
▶ SciSearch (Online)
updated weekly 1974년부터
3,500여종에 1,900여종을 추가로 수록함.
online으로 직접 SCI 검색
JCR (Journal Citation Report)
JCR은 Science Edition과 Social Science Edition이 있는데, Science Edition에는 약 6,000여종의 선도적인 과학학술지를 색인해 놓고 있다. JCR은 특정학술지가 얼마나 자주 인용되고 있는지, 어떤 학술지들이 그 특정학술지를 인용하고 있는지, 그 학술지가 출판된 후 얼마나 빨리, 그리고 오랫동안 인용되고 있는지, 특정학술지에 인용되는 학술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SCI가 특정논문에 대한 인용상황을 알 수 있는 반면, JCR은 특정학술지의 권위도를 알 수 있다.
SCI란 무엇인가? (포항공과대학 작성)
차 례
1.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2. SCI 와 SCI Expanded
3. SCI 학술지 선정방법 및 절차
4. 학술지 추천
5. SCI에 등재된 우리나라 학술지